구리(Cu)와 크롬(Cr)의 전자배치는 일반적인 규칙에서 예외적으로 나타나는 대표적인 원소들입니다. 각각의 전자배치는 다음과 같습니다:
✅ 크롬 (Cr, 원자번호 24)
기본 규칙대로라면:
1s² 2s² 2p⁶ 3s² 3p⁶ 4s² 3d⁴
하지만 실제로는 안정성을 위해 다음과 같이 바뀝니다:
실제 전자배치:
1s² 2s² 2p⁶ 3s² 3p⁶ 4s¹ 3d⁵
→ 4s 전자 하나가 3d로 넘어가면서 d오비탈이 반쯤 채워져 더 안정함
✅ 구리 (Cu, 원자번호 29)
기본 규칙대로라면:
1s² 2s² 2p⁶ 3s² 3p⁶ 4s² 3d⁹
하지만 실제로는 역시 더 안정한 구조를 취합니다:
실제 전자배치:
1s² 2s² 2p⁶ 3s² 3p⁶ 4s¹ 3d¹⁰
→ 3d 오비탈이 꽉 차게 되면 더 안정하기 때문에, 4s 전자 하나가 3d로 넘어감
✨ 정리하자면
원소예상 전자배치실제 전자배치이유
Cr | 4s² 3d⁴ | 4s¹ 3d⁵ | d 오비탈이 반쯤 찬 상태가 안정적 |
Cu | 4s² 3d⁹ | 4s¹ 3d¹⁰ | d 오비탈이 완전히 찬 상태가 안정적 |
'공부내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💊 약대 편입,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? (0) | 2025.04.08 |
---|---|
당신생합성(glycogenesis) (1) | 2025.04.08 |
🧬 크렙스 회로(Krebs Cycle) – 세포 속 미니 에너지 발전소! (0) | 2025.04.07 |
🔥 처음 배우는 해당과정(Glycolysis) – 우리 몸의 에너지 공장! (0) | 2025.04.07 |
🧬 처음 배우는 코리 회로(Cori Cycle) – 우리 몸의 에너지 순환 이야기 (0) | 2025.04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