📘 유기 화학 쌩기초 7 – 생명과학과 만나는 유기화학
본문 바로가기
내가 보려고 쉽게 정리하는 유기 화학/쌩기초🧪

📘 유기 화학 쌩기초 7 – 생명과학과 만나는 유기화학

by 꿈콩이네 2025. 4. 22.

(아미노산, 탄수화물, 지방 구조 완전 해부!)

🎯 이번 강의 핵심 요약

생체분자 주요 작용기 특징
아미노산 -COOH, -NH₂ 단백질의 재료
탄수화물 -OH, C=O 에너지 저장 및 공급
지방(지질) 에스터 에너지 저장 + 세포막 구성

🥩 1. 아미노산 (Amino Acids)

✔️ 구조 기본형:

 

👉 가운데 탄소(C)가 있고, 네 방향에

  • 수소(H)
  • 아민기(NH₂)
  • 카복실산기(COOH)
  • 그리고 R기 (특징적인 곁가지)
    가 달려 있어요.

✔️ 작용기:

  • 아민기 (-NH₂) → 염기성
  • 카복실산기 (-COOH) → 산성

➡ 둘 다 있어 양쪽성 (amphoteric)


✔️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과정

아미노산 + 아미노산 → 펩타이드 결합
(= 아미드 결합 = -CONH-)

 
NH₂–CHR–COOH + NH₂–CHR'–COOH
NH₂–CHR–CO–NH–CHR'–COOH + H₂O

📌 물을 뺀다 = 탈수축합 반응


🍞 2. 탄수화물 (Carbohydrates)

✔️ 기본 구조:

  • C, H, O로 구성
  • 가장 단순한 형태는 CH₂O의 반복

예:

  • 포도당 (C₆H₁₂O₆)
  • 과당 (C₆H₁₂O₆)
    (하지만 구조는 다름 → 이성질체!)

✔️ 작용기:

  • 하이드록시기(-OH)
  • 알데하이드(-CHO) or 케톤(C=O)

✔️ 고리 구조?

포도당은 생체 내에서는 고리형으로 존재해요
(알코올과 알데하이드가 서로 반응해서 헤미아세탈 형성!)


✔️ 다당류는 어떻게 만들어질까?

포도당 + 포도당 → 이당류 (예: 말토스)
여러 개 → 다당류 (예: 녹말, 셀룰로오스)

💡 결합: 글리코사이드 결합 (C–O–C)


🧈 3. 지방(지질, Lipids)

✔️ 기본 구조:

지방산 + 글리세롤 = 트라이글리세라이드 (중성지방)

예:

  • 스테아르산 + 글리세롤 → 트라이글리세라이드

✔️ 반응:

  • 에스터 결합으로 연결
  • 물과 만나면 분해 → 비누화 반응! (비누 만들기!)

🧬 정리 – 생체분자들의 화학 반응

  작용기 작용기 관련 반응
아미노산 아미드(펩타이드) 결합 -COOH, -NH₂ 탈수축합
탄수화물 글리코사이드 결합 -OH, -CHO 고리화, 축합
지방 에스터 결합 -COOH + -OH 비누화 반응

🧪 왜 이런 구조들이 중요할까?

  • 단백질 구조는 접히는 방식(R그룹에 따라 달라져요!)
  • 탄수화물의 고리구조는 에너지 효율성에 큰 영향
  • 지방은 에너지 밀도 높음 (1g = 9kcal!)
  • 작용기 → 반응 → 기능이 달라짐 = 유기화학의 핵심 연결고리!

✏️ 복습 퀴즈

  1. 아미노산에서 양쪽성의 근거가 되는 두 작용기는?
    👉 -COOH(산), -NH₂(염기)
  2. 포도당이 고리형으로 바뀌는 이유는 어떤 반응 때문일까요?
    👉 헤미아세탈 형성 반응
  3. 중성지방을 구성하는 분자 2가지는?
    👉 지방산 + 글리세롤
  4. 지방에서 에스터 결합을 분해하는 반응을 뭐라고 할까요?
    👉 비누화 반응 (Saponification)

📚 다음 강 예고 – 8강!

📘 8강 – 고분자의 세계: 플라스틱, DNA, 단백질의 공통점은?
💡 폴리머(polymer)의 원리와, 그 속에 숨겨진 유기화학의 마법을 파헤칩니다!